
- 책 소 개
-
가장 신뢰받는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입문서의 최고봉!!
매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대표적인 이론서로 꼽히는 이 책은 1994년 초판이 출간된 이래 수많은 연구자들과 학생들을 커뮤니케이션학의 세계로 인도하는 길잡이 역할을 해왔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2019년 제7판이 처음으로 번역 출간되었고, 이번에 제8판을 다시 번역하여 개정판으로 출간했다. 초기의 대중사회 이론에서부터 의미 구성 이론, 최근의 미디어타이제이션 이론까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총망라해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사회/행동주의 이론 전통과 문화/비판 이론 전통의 두 주요한 미디어 이론의 줄기를 통합적인 시각에서 고찰하고 있다는 데 큰 특징이 있다. 또한 이번 개정판에서는 대세 미디어로 자리 잡은 인터넷 기반 미디어와 대규모 소셜 미디어, 빅 데이터 등을 집중 고찰하고, 미디어타이제이션 이론 등 최신 이론들을 새롭게 소개함으로써 가장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미디어 이론 입문서로서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 저자 소개
-
지은이 : Stanley J. Baran, Dennis K. Davis
Stanley J. Baran
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브라이언트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초대 학과장을 역임했다. 미디어가 사람들의 삶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해왔으며 최근에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ABC, IBM 등을 비롯한 여러 기업과 기관에서 커뮤니케이션 관련 자문위원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Introduction to Mass Communication: Media Literacy and Culture, Introduction to Human Communication: Perception, Meaning, and Identity(공저) 외 다수가 있다.
Dennis K. Davis
미국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이다. 미국의 주요 언론 학회인 저널리즘·매스커뮤니케이션교육학회(AEJMC)와 전미커뮤니케이션 학회(NCA) 분과장을 역임했다. 지난 40여 년간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비롯해 미디어 리터러시, 정치 커뮤니케이션, 국제 커뮤니케이션과 관련한 연구에 매진해왔다. 주요 저서로는 Mass Communication and Everyday Life: A Perspective on Theory and Effects(공저), Introduction to Mass Communication Theory(공저) 외 다수가 있다.
옮긴이 : 김훈순, 김경희, 정선호
김훈순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석사학위를, 템플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를 지냈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다. 한국방송학회와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주요 저서로는 『다시 보는 미디어와 젠더』(공저), 『영상 콘텐츠 연구』(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영화 커뮤니케이션』 등이 있다.
김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림대학교 미디어스쿨 학장으로 재직 중이다. 한국언론학회 회장과 미디어다양성·리터러시위원회 위원장, 언론중재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한국방송학회 학술상(저술부문)과 우현학술상, 한림대학교 도헌학술상 등을 수상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뉴스 안과 밖의 여성』, 『한국사회와 인터넷 저널리즘』, 『소셜 콘텐츠의 흥망성쇠』(편저), 『정치 뉴스 리터러시』(공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등이 있다.
정선호
이화여자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국제학 석사학위를, 텍사스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건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림대학교 정보기술과 문화연구소의 연구교수와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의 연구위원을 지냈다. 「언론인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Will Social Media Save Newspapers?」 등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 뉴스 생산자, 기사, 수용자에 대해 고찰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 차 례
-
서문
옮긴이의 글
1장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에 대한 이해와 평가
개요 /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재정의 / 과학과 인간 행동 / 이론의 정의 / 이론에 대한 평가 / 사회과학의 유연성 /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 / 미디어 이론의 네 가지 트렌드 / 효과 연구의 재부상
2장 대중사회 이론과 선전 이론
개요 / 대중사회 비평가와 미디어에 대한 논의 / 초기 대중사회 이론의 예 / 선전의 기원 / 현대의 선전 이론
3장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규범 이론
개요 / 미디어의 규범 이론과 그 기원 / 정부의 미디어 규제 / 언론의 사회적 책임 이론: 전후 절충안 / 오늘날에도 사회적 책임 이론의 역할은 유지되는가 / 인터넷 시대의 공익 / 그 밖의 규범 이론
4장 미디어 효과 트렌드의 출현
개요 / 후기실증주의 효과 트렌드의 발전 / 선전 연구에서 태도 변화 이론으로
5장 미디어 효과 트렌드의 확립
개요 / 중범위 이론과 기능주의적 분석 접근 / 정보 유통 이론 / 개인적 영향: 단계 유통 이론 / 조셉 클래퍼의 현상학적 이론 / 매스 미디어의 엔터테인먼트 기능 /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시스템 이론
6장 비판적 문화 트렌드의 출현
개요 / 변화의 시대 / 비판적 문화 이론 트렌드 / 유럽에서의 문화 이론의 부상 / 정치경제학 이론 / 문화 연구: 전달적 관점과 의례적 관점 / 마셜 매클루언: 미디어는 메시지와 마사지이다
7장 미디어와 사회 학습에 관한 이론
개요 / 아동과 폭력 / 텔레비전 폭력 이론 / 일반 공격 모델
8장 미디어와 인간 발달에 관한 이론
개요 / 미디어와 아동 발달 / 연결되어 성장하기: 새로운 개인 기기와 인간의 발달
9장 수용자 이론: 이용과 수용
개요 / 수용자 이론: 정보원 지배적 관점에서 능동적 수용자 관점으로 / 이용과 충족 연구의 부활 / 엔터테인먼트 이론 / 이용과 충족 이론과 소셜 네트워킹 / 수용 연구의 발달: 해독과 의미 구성
10장 미디어 인지와 정보 처리 이론
개요 / 정보 처리 이론 / 스키마 이론 / 적대적 미디어 효과 / 정교화 가능성 모델 / 내러티브 설득 이론과 확장된 정교화 가능성 모델 / 지연 가설 / 감성 지능, 동기화된 추론, 역화 효과 / 신경과학적 관점
11장 지식, 정보, 사회적 이슈의 인지에 미치는 미디어 효과 이론
개요 / 지식 격차, 정보 격차, 디지털 불평등 / 정보/혁신 확산 이론 / 의제 설정, 프라이밍, 의제 형성 / 침묵의 나선
12장 공동체와 일상 문화에 미치는 미디어 효과 이론
개요 / 미디어와 사회적 자본/공동체 연구 / 배양 분석 / 미디어 리터러시
13장 미디어와 문화 이론: 사회 세계에서 의미 구성하기
개요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 사회구성주의 / 프레이밍과 프레임 분석 / 프레임과 프레이밍 이론의 발전
14장 미디어와 문화 이론: 문화의 상품화와 미디어타이제이션
개요 / 문화 산업으로서 미디어: 문화의 상품화 / 미디어타이제이션 이론
참고문헌
찾아보기